티스토리 뷰

반응형

 

봄과 가을이 되면 창문에 검은 벌레가 달라붙고, 차 앞유리에 벌레가 잔뜩 붙어 불쾌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그 주인공은 **‘러브버그(Lovebug)’**입니다.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한 이름일 수 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러브버그가 본격적으로 출몰하며,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러브버그의 출몰 시기, 출몰 지역, 왜 특정 지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지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러브버그란?

러브버그는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주로 검은색 몸체와 주황색 머리, 한 쌍씩 붙은 모습이 특징입니다. 이름처럼 짝짓기를 하며 날아다니는 모습이 인상적이어서 '러브버그'라 불립니다.

다만 그 이름과 달리 실제로는 불쾌지수를 높이는 벌레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리를 지어 날아다니며, 자동차나 건물 외벽, 실내까지 침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러브버그

🗓️ 러브버그 출몰 시기 – 1년에 2번, 꼭 나타난다

러브버그는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연 2회, 봄(56월)과 가을(910월)**에 주로 나타납니다.

✅ 봄철 대량발생 시기

  • 5월 중순 ~ 6월 초순
  • 겨울을 지낸 알이 부화하면서 첫 번째 대량 발생
  • 기온 상승과 함께 유충 → 성충으로 빠르게 전환

✅ 가을철 2차 발생 시기

  • 9월 초순 ~ 10월 중순
  • 여름 동안 성장한 유충이 일제히 성충으로 변태
  • 이 시기에는 짝짓기를 하며 이동하기 때문에 눈에 더 잘 띔

러브버그는 1~2주간 집중적으로 활동한 뒤, 급속도로 사라지는 특성을 보입니다. 때문에 짧은 시기에 집중적인 피해를 주는 계절성 해충으로 분류됩니다.

 

 

🗺️ 러브버그 출몰 지역 – 왜 남부지방에 많을까?

한국에서는 주로 경상도, 전라도, 충청남도 남부, 제주도남부와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러브버그가 발견됩니다.

📍 대표적 출몰 지역

  • 부산, 창원, 울산, 진주, 통영, 사천
  • 전주, 익산, 순천, 여수, 목포
  • 제주 전역
  • 충남 서해안 일대 (태안, 서산, 당진)

이유는 간단합니다.
러브버그는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하고, 풀이 무성한 녹지, 물가, 논밭, 하천 주변을 선호합니다. 이러한 환경은 남부 지방에 특히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죠.

 

🌾 도시 vs 농촌 – 어디에서 더 잘 보일까?

  • 도시: 주차장, 고속도로 주변, 도로변에 많이 출몰
  • 농촌/시골: 논밭, 하천, 풀밭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

특히, 비 온 후 며칠간 기온이 올라가면 대량 번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봄철 장마 후, 가을철 태풍 이후 날씨가 따뜻해지는 기간은 러브버그 대량 발생 주의기간입니다.

 

 

🚗 자동차에 달라붙는 이유는?

러브버그는 이산화탄소와 빛, 열에 반응하는 습성을 가졌습니다.
이 때문에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앞유리, 흰색·은색 차체에 몰려듭니다.
또한, 엔진에서 나오는 열과 진동이 러브버그를 자극하는 주요 원인입니다.

고속도로 주행 시 러브버그가 차체에 붙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입니다.
게다가 차에 부딪혀 죽은 러브버그의 체액은 산성이 강해 도장을 손상시키거나 부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최근 심화된 러브버그 문제

최근 몇 년간 지구온난화, 이상기온, 강수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러브버그의 출몰 지역과 규모가 점차 북상하고,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과거엔 제주나 경남 일부 지역에 한정 → 최근엔 수도권 외곽, 강원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
  • 2023년과 2024년, 전주·익산·서천 등에서 ‘러브버그 대량발생 민원’ 증가

따라서 향후에는 더 넓은 지역에서 러브버그 방제와 예방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러브버그는 특별히 위험한 해충은 아니지만, 집단적으로 출몰하면 생활에 큰 불쾌감과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정확한 출몰 시기와 지역을 안다면, 사전 방충망 점검, 퇴치제 준비, 차량 세차 등으로 충분히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요약:

  • 출몰 시기: 5월~6월, 9월~10월 (고온다습한 날씨에 집중 발생)
  • 주요 지역: 남부 해안 중심 (부산, 전남, 제주 등)
  • 주요 장소: 논밭, 주차장, 고속도로 주변, 하천
  • 대처 방법: 방충망 강화, 차량 커버, 주변 정비 및 예방 소독

 

러브버그
러브버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