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아이폰 사용자라면 누구나 궁금해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애플페이로 교통카드를 등록해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을까?”
2023년 애플페이가 국내 도입된 이후 다양한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교통카드 등록 및 결제는 많은 이용자에게 생소한 영역입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애플페이의 교통카드 등록 가능 여부와 등록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애플페이에서 교통카드 등록이 가능한가요?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2025년 현재 한국에서는 ‘애플페이 단독으로’ 교통카드(티머니·캐시비)를 직접 등록하여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애플페이는 신용/체크카드 기반 결제 시스템이기 때문에, 교통카드를 등록하려면 카드사에서 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된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등록해야만 가능합니다.
💡 즉, 애플페이에 등록된 ‘교통카드 기능 포함 신용카드’로 대중교통을 결제하는 방식으로는 일부 활용이 가능합니다.
2. 애플페이 교통카드 등록을 위한 준비사항
✅ 사용 가능한 기기
- 아이폰 8 이상 모델
- 최신 iOS (17.0 이상 권장)
- Apple Wallet 앱 활성화 상태
- 국내 카드사 중 애플페이 지원 카드
✅ 애플페이 연동 가능한 국내 카드사 (2025년 기준)
- 현대카드
- 롯데카드
- 하나카드
- 신한카드 (일부)
- NH농협카드 (추가 지원 예정)
각 카드사의 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된 카드가 필요합니다. 단순 신용카드로는 대중교통 결제가 불가능할 수 있으니 발급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3. 애플페이 교통카드 등록 방법 (신용카드 기반)
1) Wallet 앱 실행
아이폰의 기본 앱인 Apple Wallet을 실행합니다.
2) 우측 상단의 ‘+’ 버튼 클릭
카드를 추가하기 위해 ‘+’ 버튼을 탭한 후, ‘신용/체크카드 추가’ 항목을 선택합니다.
3) 카드 스캔 또는 수동 입력
카메라를 이용해 실물 카드를 인식하거나, 카드번호·유효기간을 수동으로 입력합니다.
4) 카드사 인증 절차 진행
카드사 앱 연동 또는 문자 인증을 통해 소유 확인 절차를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교통카드 기능 사용 가능’ 여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카드 등록 완료 후 테스트
-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경우, 지하철 개찰구/버스 단말기에서 애플페이로 직접 결제 가능합니다.
-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인식률이 떨어지거나 지원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테스트는 필수입니다.
4. 애플페이로 교통카드 결제가 가능한가요?
💡 교통카드 기능이 포함된 신용카드가 등록되어 있다면 애플페이로 지하철/버스 결제가 가능합니다.
단, 애플페이 단독으로 티머니나 캐시비처럼 충전식 교통카드를 직접 등록하거나 충전하는 것은 아직 불가능합니다.
❌ 안 되는 것들:
- 티머니 앱에서 교통카드 발급 후 애플페이에 등록 ❌
- 애플페이에 캐시비 단말기 등록 ❌
- 애플페이에서 교통카드 잔액 충전 ❌
✅ 가능한 것들:
- 교통카드 기능이 내장된 카드 등록 후 NFC로 지하철 개찰구 통과
- 애플페이로 ‘신용카드 교통 결제’ 방식 사용
5. 향후 지원 예정 – 애플 월렛에 교통카드 직접 등록?
2025년 현재, 한국에서는 교통카드를 Wallet에 단독 등록하는 기능은 지원되지 않고 있으나,
일본·중국에서는 이미 Suica, Octopus, Alipay 교통카드 등록이 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
한국도 향후 티머니 또는 캐시비와의 연동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분 | 애플페이 교통카드 등록 가능 여부 |
티머니 직접 등록 | ❌ 불가능 |
캐시비 직접 등록 | ❌ 불가능 |
신용카드 기반 교통카드 기능 | ✅ 가능 (카드사에 따라 상이) |
잔액 충전/조회 기능 | ❌ 불가능 |
✅ 애플페이를 통해 교통카드 기능이 포함된 신용카드를 등록하여 사용은 가능하지만,
티머니·캐시비 같은 충전식 교통카드는 등록이 불가하다는 점, 꼭 참고해 주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어린이) 용돈 관리방법 - 용돈기입장, 아이명의통장개설방법 (0) | 2025.08.04 |
---|---|
정부24에서 자녀 주민등록등본 발급받는 방법 (0) | 2025.08.04 |
에너지바우처 하절기 사용법-여름 냉방혜택 100% 받는 팁! (0) | 2025.08.02 |
에너지바우처와 냉방비 지원금 차이점 비교(2025년 기준) (0) | 2025.08.02 |
냉방비 절약방법 및 냉방비 지원금 활용방법 (0)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