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요즘은 스마트폰과 인터넷 전화(VoIP)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KT 집전화(유선전화)**를 해지하려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해지 절차나 위약금, 남은 약정 여부 등에서 막막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죠.
이 글에서는 KT 집전화 해지 방법, 절차,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드릴게요.
1️⃣ KT 집전화 해지 방법
KT 집전화를 해지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 1. 고객센터 전화
- 국번 없이 100번으로 전화 → 음성안내에 따라 상담사 연결
- 본인 확인 후 ‘집전화 해지’ 요청
- 해지 희망일 지정 가능 (즉시 해지 or 지정일 해지)
🔹 2. KT 지사 방문 (희망 시)
- 본인 명의 신분증 지참
- 주소지 관할 KT플라자 또는 지점 방문 후 신청 가능
🔹 3. 온라인 해지 (일부 조건만 가능)
- 마이케이티(mykT) 앱에서는 집전화 해지 메뉴가 없거나 제한될 수 있어 전화 해지가 일반적
☎ 고객센터(100번)는 24시간 운영하지만, 상담사는 평일 09:00~18:00 사이에 연결 가능해요.
2️⃣ 해지 시 위약금은 없을까?
✅ 약정이 끝난 경우
→ 위약금 없음. 마지막 사용 일까지 일할 계산 후 청구.
❌ 약정이 남은 경우
→ 위약금 발생 가능
- 예: 3년 약정 중 2년 사용 후 해지 시 위약금 부과
- 위약금은 약정 할인금액의 일부 또는 전액으로 계산
※ 요금제에 따라 ‘약정기간 자동 연장’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상담사와 통화 시 약정 상태 확인 필요
3️⃣ 단말기 임대나 결합상품 사용 중이라면?
- 임대 전화기 반납 필요 여부 확인
- KT에서 제공한 유선전화기(임대품)인 경우 해지 시 반납해야 위약금 없음
- 분실 시 변상금 발생
- 인터넷+TV+전화 결합상품 사용 중일 경우
- 전화만 해지하면 인터넷/TV 요금이 오를 수 있음
- 상담사에게 전체 상품 조정 가능 여부 확인 필요
4️⃣ 해지 후 요금 청구
- 해지일 기준까지 일할 계산되어 요금이 마지막으로 청구됨
- 요금이 자동이체 중일 경우, 남은 금액만 자동으로 빠져나감
- 상담사 통화를 통해 약정 여부, 위약금, 결합상품 영향을 꼭 확인하세요.
- 임대 장비가 있다면 반납여부 확인도 잊지 마세요.
- 해지 후 인터넷 전화나 모바일로 변경 시 할인 혜택을 재협상해볼 수도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체국 우편물 방문 수거서비스 예약방법(대량 발송 꿀팁) (0) | 2025.07.18 |
---|---|
KT 집전화 약정 확인과 위약금 계산방법 (0) | 2025.07.17 |
음식물처리지 지원금, 아직도 안 받았나요?(2025년 정보 총정리) (0) | 2025.07.14 |
티맵 운전점수 조회-점수 확인, 보험 할인 (0) | 2025.07.12 |
2026년 최저임금 시급부터 월급까지 정리 (계산기 포함) (0) | 2025.07.11 |